오픈마켓의 플랫폼마다 성격이 다르므로 성격이 완전히 다른 스마트 스토어와 쿠팡을 예시로 들겠다.

 

쿠팡은 아이템 위너라는 시스템이 있어서 기존에 잘 팔고 있는 상품에 내가 판매자로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아이템 위너: 상품을 클릭하였을 때 아이템 위너에 해당하는 사람의 상품이 노출된다.

아이템 위너의 선정 기준은 가격이 가장 큰 요소로 작용하고 그 외에 요소로는 상품 등록의 출고 소요 기간,

 

(아이템 위너를 위해 점수를 높게 받으려고 출고 소요 기간을 배송기간보다 짧게 하면 정시 배송 완료되지 못했을 시 점수가 많이 깎일 수 있다. 점수가 많이 낮아지면 소명을 하라는 메일과 함께 소명을 하지 않을 시에는 상품이 판매중지 처리된다.)

 

판매자 점수의 주문 이행, 정시 배송 완료, 24시간 내 답변 점수가 영향을 미친다.

보통 상품에 등록을 할 경우 가장 많은 상품평을 가지고 있는 상품에 등록해야 가장 많은 판매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점들을 잘 살펴보아야 하며 상품에 진입이 쉽기 때문에 더욱더 경쟁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쿠팡의 경우에는 가격경쟁이 치열해서 10원씩 낮추어 아이템 위너로 선정되기 위한 싸움이 계속되고 있다.

쿠팡의 경우에는 내가 물건을 특별히 싸게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마진이 너무 적어 이득을 볼 수 없는 상품이라면 무의미한 싸움은 피하는 것이 좋다.

 

스마트 스토어 같은 경우에는 자신의 가게라고 생각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가게의 단골을 만들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처음에는 고객을 유입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상품을을 구비해놓고 잘 판매되는 상품 중에 최저가로 고객들을 끌어와서 부가적으로 비슷한 상품을 같이 쇼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첫 번째이다.

 

유입이 잘 되는데도 불구하고 구매로 전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가격이 문제인 것인지 혹은 상품에 대한 설명이 잘 되어있지는 않는지 혹은 사람들이 구매 평이 충분히 없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사람들의 구매한 후의 상품평은 추후 구매를 할 사람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고객만족에 굉장히 신경 쓸 필요가 있다.

 

고객만족은 가격뿐만 아니라 서비스적인 측면도 있는데 고객에게 배송이 잘 갔는지 물어보고 따듯한 말 한마디 건네는 친절과 배려는 만족과 차별점을 가질 수 있다.

 

그렇게 고객에게 상품을 구매한 후에 좋은 상품평을 남겨달라고 요청한다면(요청 안 해도 어느 정도는 쌓이겠지만) 훨씬 빠르게 쌓을 수 있을 것이다.

 

요청하지 않고 스마트 스토어는 상품평이나 포토 상품평에 대해 남긴 고객에게 포인트를 지불할 수 있는데 충분한 보상은 효율적인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들을 참여시키기 용이하나 처음 시작하는 판매자는 비용을 줄이고 효율적인 판매 과정을 만들기 위해서 지나친 포인트는 오히려 마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선이 무엇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판매하는 과정이 익숙해질 때까지 마진을 계산하여 아주 적은 마진이라도 꾸준히 들어올 수 있는 단골 고객을 만들어 판매하는 과정을 연습할 필요가 있다.

 

생각지 못한 변수가 잘 일어나므로 그러한 일들을 처리하며 당황하지 않을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상황들을 겪어볼 필요가 있다.

 

 

 

쿠팡에 가끔가다 보면 배송비가 이상하게 과도하게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누군가는 그것이 장난질이라며 굉장히 불쾌하게 생각하고 시비를 거는 사람도 있다.

 

보통 오픈마켓 마진을 잡을 때 수수료를

스마트 스토어(네이버):6%

쿠팡:11%

G마켓 옥션:13%

11번가:13%

 

이렇게 설정해놓고 마진을 계산하면 손해 보지 않는다(보수적으로 어떤 물건을 넣어도 손해를 보지 않도록 잡은 것이기 때문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오픈마켓에서는 물건 소싱이 쉬운 물건일수록 가격으로 경쟁하는 경우가 훨씬 많기 때문에 최저가를 유지하면서도 최대한의 돈을 얻어 갈 수 있는 것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각자 자신의 조건에 따라 배송비 수수료 등 변수가 많고 그 변수를 활용해서 돈을 버는 사람도 있고 자신이 독점할 때까지 손해를 보면서 파는 사람도 있다.

 

각 플랫폼마다 다르겠지만 수수료를 아끼는 방법은 배송료를 설정하는 데 있는데

 

쿠팡의 경우는 물건값*0.89+배송료*0.96=정산 가격이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배송료를 설정한 값에 따라 정산 받는 금액이 달라지므로 많은 판매가 이루어진다면 배송료를 적절히 활용해 돈을 벌 수 있다.

 

하지만 쿠팡의 시스템을 본다면 배송료를 올리려면 구매제한을 통해 1물건당 1배송료를 지불하게끔 만들 수밖에 없는데 그럴 경우 복수구매가 이루어지는 상품일 경우 이거나 묶음 상품이 노출되지 않아서 비슷한 물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에게 나의 상품을 노출할 수 있는 기회를 잃어버리는 것이므로 잘 생각해야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이 지금은 가능하지만 쇼핑몰의 정책이 바뀌면 언제든지 페널티를 먹을 수도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네이버 스토어는 옵션 값 설정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런 식으로 판매 가격을 설정하여서

옵션 값을 이런 식으로 상품 등록을 할 시에는

이렇게 옵션가격을 다시 한번 확인하라는 문구와 저장이 되지 않는다.

 

이렇듯 설정한 판매 가격에 -50%~ +50%만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내가 만약 똑같은 물건을 팔지만 많은 수량을 산 고객에게 세트 할인으로 가격을 설정하려면 다시 만들어야 할까? 그럼 깔끔하게 정리되지 않아서 뭔가 복잡하게 느낀 고객은 떠나게 될 수도 있다.

50% 설정을 돌파한 예시 :

https://smartstore.naver.com/coffeemoca/products/4887010158

 

사워솝주스 : 커피모카

[커피모카]사워솝주스

smartstore.naver.com

 

설정을 돌파하는 방법은 판매가를 높여놓고 할인을 하는 것이다

ex)

 

 

정상적으로 옵션가격이 적용된 것을 볼 수 있다.

소량 판매와 대량판매를 같이할 때 그리고 가격 설정의 폭이 클 때에는 이러한 방법도 있어서 한 상품 안에 집어넣을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해보길 바란다.

모두 오늘도 고생했고 행복하길 바란다.

 

 

폭탄이라고 극단적으로 이야기할만한 상품들이 있다.

이러한 상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도매가로 넘기는 것이 아니다.
- 자신의 상품을 돋보이기 위한 들러리를(가격, 상품이 많으면 소비자는 어느 정도 인기가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구하는 것이고,
- 물건을 팔아줄 누군가를 구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상품들을 찾는 예시를 들어보겠다.


도매매에서 팔고 싶은 물건을 정하고, 그 도매매에 올라와있는 이름 그대로 네이버에 검색해서 가격을 확인한다.

이 때, 도매 사이트에서 1만원에 올라와있다면 최소마진은 얼마가 적당할까?
나는 단일상품으로는 도매가의 20%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도매매에서 1만원에 올라왔고, 네이버 검색기준 최저가가 (검색해서 1페이지에서 보이는 상품들) 12000원 이하이거나 혹은 1만원 이하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매라면서 자신이 소매에 팔고 있는 경우가 많다. (물론 모든 경우가 그렇지는 않다) 이 때 대부분의 소비자는 자연스럽게 최저가를 찾아 들어간다.

최저가와 비슷한 가격으로 내가 판매하지 못하는 상품은 물건을 더 싸게 받아오지 않는 한 큰 의미가 없을 것이다.(예외인 경우도 있다. 가격대가 천원 이천원 대의 제품들은 사람들이 수고스러운 것보다 자신이 만족하고자 함이 더 크기 때문에 예쁘거나 기능적으로 마음에 들면 구매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만원 이하의 소액일경우고 가성비보다는 가심비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만 해당함으로 대부분의 상품에는 적용되지 않는 사항이다.)

슬프게도 도매매의 위탁배송상품들은 나의 체감상 50% 이상이 최저가에 팔지 못하는 상품이다.

자신이 소매에 오픈마켓을 오픈해서 팔면서 들러리를 구하는 양심 없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알아서 똑똑하게 피해가야 할 것이다.

물건을 가져오는 방식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사입(도매처의 물건을 사서 보유하고 택배를 부치는 방법)

2. 위탁배송 (다른 도매 판매처에서 내가 결제만 하면 지정된 장소로 택배를 배송받고 송장을 받는 방법)

3. 병행수입(해외에서 (거의 중국)에서 물건을 사들여와 각종 절차를 거쳐서 판매하는 방식 이러한 방식에서는 3PL이라는 방식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3PL이란 물건 양과 무게에 비례하여 일정 수수료를 받고 물건을 보관해주고 택배를 대신 배송해주는 하나의 시스템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장사를 해본 적이 있는 사람은 물건을 좋은 물건을 알아보고 대량으로 싸게 구입하여 판매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으나 내가 생각하는 좋은 물건이 좋은 가격을 가지지 못하면 판매를 이루어지기 어렵고 생각보다 재고를 떠안는다는 것은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좋은 방식이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추천해주고 싶은 방법은 위탁배송으로 시작을 하여 무엇이 팔리는지 얼마큼 팔 수 있는지 연습하는 과정들이 필요한데 위탁배송은 팔릴 때만 추가로 결제를 하면 되므로 재고의 부담도 판매의 부담도 적기 때문에 추천드립니다(하지만 이윤도 적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위탁배송을 통해 구매를 많이 일으킬 수 있는 상품을 만들고 유통의 더 윗단계에 접촉을 하여 더 낮은 단가로 물건을 가져오는 방식입니다.

예시로 저는 지금 현재 푸시업 바를 팔고 있는데 이 푸시업 바가 잘 팔릴 경우 중국에서

https://www.1688.com/라는 사이트 (중국 내국인 전용 사이트)에서 물건을 가져와서 마진을 많이 남길 수 있는 방법이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중간에 구매를 대행해주는 업체가 필요하므로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추가로 서술하겠습니다.

간단한 사입, 위탁배송의 사이트의 목록들입니다.

가장 쉬운 것은 첫 번째의 도매매 사이트입니다.

도매매: http://domeme.domeggook.com/main/myBuy/supplyChk/my_supplyChk.php

가구: http://www.slf.co.kr/shop/main/index.php

가방 : http://www.bagboss.co.kr/product/list.html?cate_no=49

가방 :http://www.bag.ac/

시계: http://domeda.co.kr/index.html

신발: http://www.bonfeel.kr/index.html

B2B 전용 도매:http://domepartner.co.kr/

(B2B 라는 것은 기업과 기업 간 거래를 말한다.)

속옷 :http://www.sinwoo.com/

물품을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입니다.

지금 현재 판매되고 있는 가격은 얼마이고 나는 얼마에 팔아서 얼마큼의 이익을 얻어야겠다는 것이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물품을 알아보다 보면 소매가 즉 일반 구매자들이 구매하는 가격보다 비싼 도매매 가격들이 다수 많이 존재합니다 그렇기에 그러한 상품을 판다면 시간 낭비만 될 뿐 큰 가능성을 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 물건을 스마트 스토어에 올리면 알아야 될 것들이 많을 것 같아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들이 필요로 합니다

물품을 처음 정할때는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나 물품을 처음 해보시길 권해드리고 싶습니다(판매는 잘 안되실수도 있어요)

실제로 얼마에 위탁이 가능한지 이정도 물건이면 어느정도 품질인지 그것에 대한 가격은 어느정도가 좋을지 예상해보고 좋아하는 분야와 물품이라면 조금 더 감으로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시장가능성을 판단하는데 더 알 수 있을것이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물건을 정했다면 이제 알아보아야 하는 것은 어떤 상품명으로 사람들이 어떻게 검색을 해서 나의 상품을 노출시킬 것인가를 알아야 합니다.

이러한 식으로 세부 카테고리가 굉장히 다양하게 나누어져 있어서 처음에는 설정하는 것이 어색할 것입니다.

그것을 도와줄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키워드 정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https://1ha.kr/seo

이 사이트에서 카테고리, 상품명, 검색설정을 알기 쉽고 복사하여 사용하기 편해서 한 번쯤 사용해봐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한 달에 5번만 무료로 사용 가능하니 신중하게 사용해보기 바랍니다.

사용방법: https://1ha-news.tistory.com/entry/일헥타르-검색최적화-사용방법?utm_source=tistory&utm_medium=1ha&utm_campaign=note

제가 살고 있는 분당 기준으로 차근차근 설명하겠습니다.


2번에 써놓은 스마트 스토어 가입 먼저 해도 괜찮습니다

 

1. 사업자를 낸다 (분당세무서 방문 사업자등록증 신청하러 가기)


신분증, 사업자등록신청증(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기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가기 전에 꼭 자신이 사용할 상호를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업종-소매        업태-전자상거래       간이사업자 체크

사업의 장소, 전화번호 등 개인 정보를 대강 적고 자신이 모르는 사항에 대해서는 번호표를 뽑고 나서 기다린 후에 카운터에 가서 물어보시면 필요한 정보에 친절하게 알려주십니다.


홈택스에서도 사업자 등록증신청이 가능하지만 분당세무서를 방문하기를 추천드립니다.


세무 관련 업무가 생긴다면 방문해야 할 일이 생기기 때문에 한번 방문하고 천천히 둘러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당일 발급해주기 때문에 받아서 잘 가져오시면 됩니다.

관련 서류가 생길 때마다 사진 찍고 컴퓨터에 따로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신분증, 사업자등록증, 통신판매업 신고증, 구매안전서비스(에스크로),통장 사본)


2. 스마트 스토어 가입 (자신의 정산 계좌 인증 필요)
https://sell.smartstore.naver.com/

사업자로 가입 네이버 연동 안 하는 것을 추천함 ( 이후에 설명할 것이지만 2단계 인증 사용할 시 핸드폰 어플에서 연동하기 어려움)

왼쪽에 판매자 정보->판매자 정보 ->이용 안전 확인증 복사( 파일로 가지고 있으시면 됩니다.)


3. 통신판매업 신청하기 (1년마다 부과 40500원)

받으러갈때 40500원 정산해야됩니다.


(통신판매업 신청 검색)
https://www.gov.kr/search?srhQuery=%ED%86%B5%EC%8B%A0%ED%8C%90%EB%A7%A4%EC%97%85%EC%8B%A0%EC%B2%AD


로그인 (아이디가 없다면 가입 공인인증서 필요) 신청 후 2~3일 걸립니다 자신의 아이디에 등록되어 있는 연락처로 신청 완료 문자가 오니 신청 전에 핸드폰 번호 확인하시고 신청하시거나 2~3일 후에 따로 들어가서 확인합니다.

자신의 세금관련 체납을 확인한후 별다른 이상이 없으면 금방 끝납니다.


4. 개인 인감 증명서 등록하기 (오픈마켓 가입 시 필요 11번가 같은 다른 곳에서 사용됨)


개인 인감은 말랑말랑한 고무로 되어있는 것은 등록이 안되므로 개인 사업자일 경우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파져있는(나무 등 단단한 소재) 인감을 가지고 주민센터 혹은 동사무소에서 인감등록을 합니다.


5. 모든 서류가 나온 이후 판매할 채널 가입하기


쿠팡 : https://wing.coupang.com/login?returnUrl=http%3A%2F%2Fwing.coupang.com%2Fproduct-deal-registration


11번가:https://login.11st.co.kr/auth/front/selleroffice/login.tmall?returnURL=http://soffice.11st.co.kr


위메프:https://wpartner.wemakeprice.com/login


G마켓:http://www.gmarket.co.kr/


옥션: http://www.auction.co.kr/?redirect=1

다음 게시물은 판매채널에 위탁배송을 위한 물품을 어디서 어떻게 가져오는지 어떻게 하는지 작성해보겠습니다.



위탁배송: 물건을 결제하면 대신 택배 배송해주고 송장번호를 전달받는 방식

+ Recent posts